[한국]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KIUS)/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IHR) / [일본] (사)신시대 아시아피스아카데미(NPA)
[한국]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 민족문제연구소 / 한국냉전학회*의뢰중
[일본] (사)신시대 아시아피스아카데미 / 와세다대학교 평화학연구소*의뢰중
[미주] 죠지워싱턴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동아시아학과 / Women Cross DMZ
[한국] 조희연(전 서울시교육감) / 김동춘(성공회대학교,좋은세상연구소) / 김민철(경희대학교후마니타스, 민족문제연구소) / 한홍구(평화박물관장) 송영훈(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장) / 강성호(순천대 인술학술원장) / 이동기(강원대학교, 한국냉전학회)
[일본] 우츠미아이코(평화학회 전회장, 게센여학원대학명예교수) / 호리요시에(와세다대학교 평화학연구소장) / 서재정(국제기독교대학) / 이영채(게센여학원대학 / 신시대 아시아피스아카데미 )
[미주] 이주연(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갈 홍(캐나다 요크대학교)*의뢰중
[1] 9月15日(月) September 15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공동워크숍/ペンシルベニア州立大学 共同ワークショップ
Joint Workshop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4:00 PM – 6:30 PM on Monday
(한국/日本 9月16日, 火, 午前5時-7時30分)
Asian Studies Department – International Conference Room
201 Old Main, University Park, PA 16802
주최인사&기조강연
・주제:전범재판과 식민지 지배
・강사: 우쓰미 아이코
・경력: 일본평화학회 전 회장, 게센여학원대학 명예교수,와세다대학 평화학 연구소, 신시대아시아피스아카데미대표이사, 2022년 김대중(후광) 학술상, 만해(한용운) 평화상 수상
・공동주최단체 인사
에리카 브린들리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아시아학과장)
이주연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한국학연구소장)
이영채 (신시대 아시아피스아카데미 공동대표)
송영훈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장)
・사회: 이주연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발표
후지타니 타카시 (토론토대학)*의뢰중
– 동아시아에서 미국의전쟁과 식민체제
모니카 김 (위스콘신대학 매디슨)*의뢰중
– 한국전쟁 포로와 미제국주의의 재구성
김민철 (경희대학교,한국)
– 탈식민화를 향한 험난한 여정
서재정 (국제기독교대학,일본)
– 식민주의 침묵시키기 : 권력과 ‘전후’ 역사의 재생
랜 즈바이겐버그(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의뢰중
-핵의 정신: 냉전 심리학
・토론
김동춘 (성공회대학교) / 리사 요네야마 (토론토대학)*의뢰중 / 갈 홍(요크대학) / 강인규(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의뢰중 / 예대열(순천대) *의뢰중
[2] 9月17日(水) September 17
조지워싱턴대학교 공동 워크숍/ジョージワシントン大学 共同ワークショップ
Joint Workshop 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12:30 PM – 4:45pm on Wednesday
(한국/日本 9月18日, 木, 午前1時30分-5時45分)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Room 505,
1957 E St. NW, Washington, D.C.
공동주최인사
・공동주최 기관:
조지워싱턴대학교 한국학연구소 (GWIKS, 미국), 신시대 아시아피스아카데미 (NPA, 일본),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KIUS, 한국),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IHR, 한국)
・개회 인사
셀레스트 에링턴 (조지워싱턴대, 미국)
서재정 (국제기독교대학, 일본)
이영채 (신시대 아시아피스아카데미 공동대표, 일본)
・주제: 한국에서의 전쟁과 역사 기억의 사회적 재구성
[제1세션: 계속되는 한국전쟁 (오후12:35 – 2:30)]
・사회:서재정 (국제기독교대학)
・발표
그렉 브라진스키 (조지워싱턴대)
- 감정사로 본 냉전과 북-중동맹
송영훈 (강원대)
- 접경지역에서 묻는 전쟁의 기억과 평화의 길
박근호 (시즈오카대)
- 폐허에서 번영으로: 일본 경제기적에 한국전쟁과 미국의 안보전략이 미친 영향
・토론
호리 요시에 (와세다대학) / 김태경 (국회미래연구원) / 앤드류 여 (브루킹스 연구소)
[제2세션: 역사 기억에 대한 사회적 대응 (오후 2:45 – 4:40)]
・사회: 셀레스트 에링턴 (조지워싱턴대)
・발표
김동춘 (성공회대)
-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관련 기억의 정치
안향선 (아메리칸대)
–재판대에 오른 피해자성: 소송, 인정, 그리고 제주 4·3 사건
조은아(윌리엄앤메리대)
– 스토리텔링 엘리트와 민주 한국 및 대만에서의 국민성 재구성
강성호(순천대)
–1948년여수,순천10.19 사건에대한기억의회복과기념의제도화
・토론
이동기(강원대학교) / 에밀리매트슨 (GW) *의뢰중 , 그 외
[3] 9月18日(木)~19日(金)September 18–19
워싱턴D.C 시민단체 워크숍 & 의회/국무부/싱크탱크 방문
ワシントンD.C.市民団体ワークショップ & 議会・国務省・シンクタンク 訪問
Washington, D.C. Civil Society Workshop &
Visits to Congress / State Department / Think Tanks
10:00 AM – 5:00 PM on Thursday–Friday
워크숍 & 방문단체
・Women Cross DMZ 및 한일 시민단체와의 워크숍
- 참가단체 소개, 오키나와·한국·일본의 평화운동 소개
- 간담회 (WCDMZ 및 현지 시민단체 관계자들과의 교류)
・미국의회 방문
- 한국전쟁 종전 및 평화법안 추진 의원실
・미국무부 방문
- 동아시아태평양국
・싱크탱크 방문
- 브루킹스 연구소 (Brookings Institution)